cors(cross-origin-resource-sharing)를 설정하라는 오류는 sop(same-origin-policy)에 의해 다른 오리진으로 보내는 요청을 '브라우저'가 막아서 생기는 오류이다
개발을 하다가 cors오류를 맞닥드린 입장에서 브라우저가 요청을 막는다는 사실을 알았을 때, 브라우저가 뭔데 감히 내 요청을 막아서 귀찮게 하는 것인지에 대한 이유는 아래와 같다
1. 대부분의 상황에서 브라우저는 사용자 본인이 작성한 것이 아닌 html,css,js 파싱한다는 것
2. 브라우저에는 인증정보(쿠키, 토큰)가 저장되어 있다는 것
특히 1번은 개발을 하고있는 입장에서 간과할 수 있는 점 같다
즉, 헤커의 사이트에 접속해서 해커가 짠 코드로 인해 해커가 사용자의 브라우저에 저장된 토큰을 가지고 사용자인 척 하며 악의적인 요청을 보내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함이다
그렇기에 서버 측에서 믿을 수 있는 origin들의 목록을 정해두는 것이 cors설정이다
'Node.j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ors 'Access-Control-Allow-Credentials' 헤더 설정 시 주의할 점 (0) | 2023.03.25 |
---|---|
axios 요청 url에 prefix값을 주는 법 (0) | 2023.03.23 |
nodejs에서 자주 쓰는 미들웨어 모듈 (0) | 2023.02.23 |
미들웨어 확장법 (0) | 2023.02.23 |
Nodejs에 대한 오해 (0) | 2023.02.17 |